상호교차성, 존중과 정 그리고 연대
전에 어느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, 퀴어이자 목사인 저에게 그 어느 곳보다 안전한 공동체였던 유니온 신학교에서 공부하게 되면서 , 제가 당사자성을 가지고 소수자 인권과 그에 대한 신학 사조들을 접하며 알게 된 것은 ‘ 상호교차성 Intersectional’ 이라는 개념이었습니다 . 이 개념을 저의 이해를 기반으로 간략히 설명하자면 , 우리가 어떤 차별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, 그런 차별과 사회적 불평등이 어느 한가지 범주로 일반화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, 상호 교차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. 예컨대 , 제가 유니온에서 공부하며 접하게 된 신학 사조는 ‘ 우머니스트 신학 Womanist Theology’ 였습니다 . 유니온은 제임스 H. 콘이라는 흑인 신학자를 중심으로 ‘ 흑인신학 ’ 을 체계화하고 확산시킨 학교입니다 . 그런데 이 제임스 콘의 제자들 중 흑인 ’ 여성 ’ 신학자들은 , 차별을 받는 소수인종인 흑인들의 억압을 다루고 있는 흑인신학에서 흑인 여성들에 대한 고민이 결여되어 있음을 발견합니다 . 또한 페미니즘을 기반으로 전개되고 있는 여성신학 Feminist Theology 에서는 상대적으로 ‘ 인종 ’ 에 대한 고민이 결여되어 있음도 함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. 흑인신학이나 여성신학 모두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해방과 권리 신장에 대한 내용을 신학적 고민과 연구를 통해 전개하고 있는 신학이었음에도 , 흑인이며 여성인 사람들 , 즉 , 교차적 차별 안에 존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그 때까지의 연구가 충분하지 않게 여겨졌던 것입니다 . 그래서 이 일단의 흑인 여성 신학자들은 ‘ 흑인 ’,’ 여성 ’,’ 신학 ’ 인 ‘ 우머니스트 신학 Womanist Theology’ 를 전개하기 시작했습니다 . 흥미로운 것은 이 우머니스트 신학도 나중에 우머니스트 신학자들 사이에서 한 번 더 큰 학문적 논쟁 과정을 겪게 되는데 , 그 논쟁의 핵심은 그렇다면 흑인이며 여성인 사람 중에 ‘ 퀴어 ’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