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쩌다 거룩하게, 읽다가 뼈 아프게
한국으로 돌아오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, 서점에 갔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된 책이 있었는데 , 미국 루터교회 소속 여성 목사인 나디아 볼즈웨버 Nadia Bolz-Weber 의 ‘ 어쩌다 거룩하게 ’ 라는 책이었습니다 . 매대에 서서 잠깐 책을 훑어보다가 저자까지 구글링을 해보게 되었는데 , 한국에서 어떻게 이런 책이 번역되어 나왔지 ? 라는 생각이 들며 무척 흥미로워졌습니다 . 나디아 볼즈웨버라는 이름을 구글에서 검색해 보시면 , 혹은 이 책을 만나게 되어 읽게 되신다면 알게 되실텐데 , 그의 몸은 크고 화려한 타투로 가득하며 , 아주 큰 장신에 , 취미로 크로스핏을 계속 하고 있는 특별한 감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. 사진과 인물 소개 초반만 보고 이 사람은 당연히 찐부치 누님 ( 레즈비언 , 외향적 , 활동적 , 주로 단발 숏커트와 바지 착용 ) 일 것이라고 생각했다가 , 남자와 결혼한 , ( 적어도 ) 바이조차 아닌 헤테로 여성이었다는 사실에 한 번 놀라고 , 그의 소속 교단이 다른 무엇도 아닌 ‘ 루터교 ’ 라는 것에 두 번 놀라면서 제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과 선입견들을 돌아보고 반성하기도 했습니다 . 크로스핏을 즐기며 , 온 몸이 문신으로 뒤덮여 있는 이 ‘ 이성애자 ’ ‘ 루터교회 ’ 여성 목사는 당연히 저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. ‘ 이런 사람이 왜 퀴어가 아니지 ?’, ‘ 이런 사람이 무슨 사연으로 어쩌다 루터교 목사가 된 거지 ?’, ‘ 한국에서 누가 , 무슨 생각으로 , 어떻게 이 책이 번역될 수 있었던 걸까 ?’ 와 같은 질문과 함께 책을 읽어가며 , 제가 이 책을 통해 얻게 된 것은 목사는 어떤 존재이며 , 어떻게 믿고 , 일하고 , 살아야 하는가 ? 같은 생각들이었습니다 . 나디아 볼즈웨버는 다양한 인종과 성별 배경의 퀴어 , 환자 , 중독자 , 장애인 , 보수주의자 , 성폭력 피해자 , 자살유가족 , 정신병력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 , 청소년들과 함께하고 목회했던 경험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. 책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