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월, 2025의 게시물 표시

'가정의 달' 5월, 마지막날

  5 월 , 마지막 날입니다 .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 , 글을 쓰는 횟수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어 스스로 위기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. 몇 년 만에 돌아온 한국에 적응하고 , 생계를 위해 새로운 직업 교육을 받고 , 계속해서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하고 몸부림치는 일상을 보내는 와중에 생각을 정리하고 글을 만들어 게시하는 마음을 쉽게 먹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. 오늘 마음을 다잡고 지난 한 달을 정리하며 적어 보려고 하는 내용은 5 월인만큼 , 가족에 대한 것입니다 . 퀴어들 중에 효자들이 많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. 얼핏 퀴어이기 때문에 불효자일 것 같은 우리들은 퀴어이기 때문에 그 부채감과 미안함에 참 많이 가족들을 생각하고 마음을 쓰기도 합니다 . 미국에서부터 그리고 지금까지 가장 무섭고 걱정되는 것이 있습니다 . ‘ 부모님이 기다려주지 못하고 어떻게 하지 ?’ 아직 이렇다 하게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아들 입장에서 , 그래도 이런 아들이 어느 정도 사람 노릇도 하고 다시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이 될 때까지 , 아빠와 엄마가 더 늙지 않고 기다려 준다면 참 좋겠는데 , 시간은 뜻대로 흘러가지 않습니다 . 보통 부모가 자식을 키울 때 , 어느 순간 훌쩍 커 버린 자식을 보며 놀라면서 언제 이렇게 컸냐 말을 하고 , 너무 빨리 크지 않았음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하는데 , 지금 저는 반대로 부모님이 너무 빨리 늙지 않으셨음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. 한국에 돌아와서 서울에 집을 구하며 본가를 떠났을 때 , 엄마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톡과 전화로 언제 내려올 거냐고 독촉을 해서 결국 크게 화를 낸 적이 있었습니다 . 지금 엄마는 가족 톡방에 한 번씩 지속적으로 명언이나 건강 상식이 담긴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있는데 , 동생에게 물어보니 제가 미국에 있을 때는 엄마가 한 번도 그런 적이 없다고 합니다 . 엄마의 그 외로움에 저는 또 속이 상하고 마음이 조급 해집니다 . 아빠는 올해 은퇴를 앞두고 있습니다 . 저...

간절기와 감기

  감기에 걸렸습니다 . 드디어 . 개도 걸리지 않는다는 오뉴월 감기이지만 , 저는 그냥 올 것이 왔다는 느낌이라 놀랍지는 않았습니다 . 다만 푹 쉬지 못했고 , 마음은 여전히 편하지 않으며 , 결정적으로 , 내일부터 직업교육 - 장례지도사 - 을 받게 되는 날인데 , 나을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좀 걱정되고 짜증 섞인 마음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. 감기는 보통 환절기에 몸이 계절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한 번씩 아프게 되는 것이라고 하는데 , 저는 이번 감기가 어쩌면 몸이 아닌 마음이 , 그리고 새로 바뀐 현실을 그냥 얼른 인정하고 적응하라는 신호 같기도 했습니다 . 새로 직업 교육을 받게 되면서 , 그리고 한국에서 지난 2 개월 정도의 시간을 보내면서 한국에서 ‘ 퀴어 ’ 로서 , ‘ 목사 ’ 일 수 있는 것은 역시 불가능한 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. 그게 정말로 당연한 현실인 걸까요 ? 현실이 , 한국이 저에게 너는 퀴어이거나 목사이거나 둘 중 하나만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.   저 개인에게는 아주 혹독한 간절기가 시작되었고 , 한국의 날씨는 습하고 무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있지만 , 저의 날씨는 여전히 많이 춥고 , 바람부는 겨울 한 가운데라서 , 아마 그 겨울이 조금 더 길어질 요량이 아닌가 합니다 . 내일부터는 정말 먹고 살 걱정을 하며 하루 하루를 보내게 될 것 같습니다 . 설교를 못한지 참 오래 되었고 , 아마 앞으로도 그럴 기회가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. 이렇게 저는 저의 간절기를 목사가 아닌 그저 40 대 퀴어 남성의 삶으로 전환하는데 , 그리고 목사로의 삶에 대한 애도에 쏟아붓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. 이 간절기가 지나면 , 저는 또 어떻게 달려져 있을까요 ? 어쩌면 하나님은 목사인 저는 필요 없으신 거였는지도 모릅니다 . 더 적극적이고 , 외향적이며 , 주도적이고 , 똑똑한 , 그래서 더 강하게 판을 뒤흔들고 뒤집을 수 있는 어떤 퀴어 목사가 누구라도 나올 수 있게 된다면 재미있을 것...

“주님, 주님은 정말로 제가 필요하세요?”

  글을   쓰는   것은   어디서나   어려웠습니다 .  그럼에도   불구하고   미국에서는   정말   아무것도   하지   않았기   때문에   글을   쓸   수   있었고 ,  그래서   상대적으로   자주   글을   올릴   수   있었다면 ,  한국은   역시 ,  가만히   있어도   사람을   바쁘고   분주하게   만드는   공기 ,  또   분위기가   있는   것   같습니다 .  아니 ,  가만히   있지   말라고   독촉하는   공기가   흐르고   있다고   해야   할까요 ?  그렇다고   딱히   제대로   된   일을  ‘ 아직 ’  하고   있는   것은   아닌데 ,  참   마음이   바쁘고 ,  미국에   있을   때와   같지만   다른 ,  산란함으로   글을   써   내려가기가   어려워   예전만큼   자주   글을   올리지   못했습니다 .  미국에서   한국으로   돌아오자마자   부모님께   다시   커밍아웃을   했고 ,  집안이   뒤집어진   상태로 ,  저는   가까스로   서울에   집을  구했...